본문 바로가기

배경지식/고체물리

(3)
[고체물리 003] 고체물리 연구의 시작 우선 "고체물리"라는 학문 속의 작은 나무보다는 숲을 먼저 한번 봅시다. 이를 위해서는 이 학문의 탄생 배경과 그 발전 과정을 이해해야 하는데요. 아래 내용을 한번 읽고 큰 그림을 먼저 그려봅시다. =============================================================================== 고체물리는 1900년대 이후 발전해온 대표적인 학문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학문은 단순히 하나의 영역이 아닌, 당대의 다양한 학문과 기술들이 개발됨에 따라 같이 발전해왔는데요. 몇가지를 소개하자면, 19세기 - 정밀한 측량기술, 통계역학, 광학, 전자기학 20세기 - 양자역학, X선의 발견, 결정학 & 결정성장 기술, 반도체 공학, 분광학 ...등등이 있겠네요. 이에 ..
[고체물리 002] Introduction 먼저 "고체물리"가 무엇이고 "왜 고체물리가 중요한지?"에 대해 한번 생각해봅시다. 1. 응집물질물리 응집물질물리(Condensed Matter Physics)란 우리 주변에서 관찰 가능한 고체, 액체 등의 아주 많은 수의 입자로 구성된 물질에서 관측 가능한 물리 현상을 설명하는 학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응집물질물리의 가장 큰 특성은 많은 입자들이 아주 가까이 모여서 서로 상호작용(주로 전자기적 작용)을 강하게 하구요. 이러한 상호작용 때문에 아주 신기한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유리는 투명한데 금속은 불투명하다던지 (광학적 성질), 금속은 전기를 잘 통하게 한다던지 (전기적 성질), 다이아몬드는 단단하지만 고무는 물렁물렁한 (기계적 성질) 것들이 바로 이런 현상이 되죠. 즉 입자들의 상호..
[고체물리 001] 카테고리 소개 본 카테고리에서는 양자 소재나 현대 반도체 기술의 기본이 되는 고체물리(Solid State Physics)에서 필요한 전반적인 지식을 다루어볼 예정입니다. 주로 이용할 서적은 현재 옥스포드 대학 교수로 계신 Steven Simon 교수님의 서적인 Solid State Basics를 이용할 예정이구요. 아래 참고문헌에 보시면 웹사이트에 무료 동영상강의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 그럼 함께 머나먼 여정을 시작해볼까요? [참고문헌] Steven H. Simon, The Oxford Solid State Basics, Oxford Press (2013) Steve Simon 교수님 웹사이트 (http://www-thphys.physics.ox.ac.uk/people/SteveSimon/) 옥스..